useState 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hook 인 useEffect 에 대해서 정리 하겠습니다 😀
먼저 useEffect 란 ❓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 마다 Side Effect 로직을 다루는 hook 입니다.
네..❓ Side Effect 가 뭔가요..❓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특징 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사전적인 정의는
Side Effect 란, 원래의 목적과 다르게 다른 효과 즉, 부작용을 말합니다.
여기서 끝나면 좋겠지만, 위와 연관지어 나오는 개념이 순수함수라고 있습니다.
순수 함수❓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어떤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도 않고 변경시키지도 않는
즉, 부수 효과(Side Effect)가 없는 함수를 순수함수(Pure function)이라고 한다.
반대로 부수 효과가 있는 함수는 비순수 함수(Impure function) 이라고 합니다.
순수 함수의 특징은❓
➡️ 동일한 인수가 전달되면 언제나 동일한 값을 반환 합니다.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다)
➡️ 외부상태를 변경하지 않습니다.
아래는 순수 함수 예시 입니다
1.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 순수 함수
2. 외부 상태를 변경하는 비순수 함수
순수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
비순수함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 합니다.
- 함수가 외부 상태를 변경하면 상태 변화를 추적하기 어려워지고,
- 추적의 어려움은 결국 오류를 야기하고, 오류해결을 어렵게 만든다.
위와 같은 이유로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순수함수의 사용을 지향 합니다.
useEffect 를 알기 위해서 이걸 알아야 하나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 리액트 공식 문서에는 아래와 같은 말이 있습니다.
모든 React 컴포넌트는 자신의 props를 다룰 때 반드시 순수 함수처럼 동작해야 합니다.
✅ React의 컴포넌트는 순수 함수이며, input 을 받아 예측 가능한 리턴 값을 만들어 냅니다.
➡️ 아래와 같이 같은 input 을 전달하면, 항상 같은 output 을 리턴 할 것 입니다.
➡️ props 는 '읽기 전용' 입니다.
리액트에서 Side Effect..❓
함수가 실행되면서 함수 외부에 존재하는 값이나 상태를 변경시키는 등의 행위를 말합니다.
➡️ setTimeout(), setInterval() 등의 타이머 함수를 사용할 때
➡️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외부 API 를 호출하는 경우
➡️ 직접 컴포넌트의 DOM 을 수정 할 때
즉, 무언가를 하기 위해 컴포넌트 외부에 도달해야 하는 경우 Side Effect 를 수행 합니다.
그래서 useEffect 는 컴포넌트 내에서 이러한 Side Effect 를 처리하게 위해 사용 합니다.
useEffect 특징
➡️ 컴포넌트의 Lifecycle 를 제어하는 hook 입니다.
탄생 : 컴포넌트가 화면에 나타나는 것 ( React 에서 Mount 라고 지칭 )
변화 : state 가 바뀌거나, 업데이트(리렌더) 되거나 이런 변화들 ( Update )
죽음 :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사라지게 되는 것 입니다. ( React 에서 unMount 라고 지칭 )
즉, React 에서 제작하고 사용하는 컴포넌트들의 탄생 부터 시작해서
state 나 props 이 바뀌게 되어 일어나는 변화를 거쳐,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없어지게 되는 죽음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제어를 한다고..❓
컴포넌트가 탄생하고, 변화하고, 사라지고 죽는 순간에 각각 어떤 작업을 수행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어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탄생시에는 ex) 초기화 작업 을 진행한다.
- 변화가 일어날 때 ex) 해당 변화를 통해 발생 할 수 있는 예외에 대한 처리 작업을 추가로 수행 한다.
- 컴포넌트가 사라지게 될 때 ex) 해당 컴포넌트가 사용하던 메모리를 반환하게 하는 작업들
기존에 위와 같은 Lifecycle 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Lifecycle 메서드를 활용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간단한 Side Effect 처리에도 복잡한 코드 작성이 필요했기 때문에 유지 보수 및 사용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seEffect 가 등장 했습니다
useEffect 사용법
- 2개의 파라미터를 전달하게 되는데 1. callback 함수, 2. 의존성 배열 을 전달 합니다.
- 의존성 배열을 뎁스(deps)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useEffect 는 뎁스에 따라 동작이 달라 집니다.
1. deps 에 빈 배열을 전달 할 때 ➡️ 컴포넌트가 mount 되는 시점
빈 배열을 전달하면 컴포넌트 최초 렌더링 이후 한 번만 실행 합니다. 즉, 생애주기로 보면 생성 되는 시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상황은
- axios, fetch 등을 통해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 할 때
- DOM 의 속성을 읽거나 변경 할 때 등
2. deps 특정 props, state 가 있을 때 ➡️ 컴포넌트가 update 되는 시점
props, state 를 deps 에 전달하게 되면 컴포넌트 최초 렌더링 및 해당 값이 변경 될 때마다 실행 합니다.
생애주기로 보면, 변화하는 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컴포넌트가 사라지게 될 때 ➡️ unmount 되는 시점
useEffect 안에 return 문이 존재하면 컴포넌트가 unmount 인 경우 실행되는 클린업 함수라고 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상황은
- DOM 이벤트를 제거 할 때 ( 현업에서 일해보니 가장 많이 보이는 방법 )
- 타이머 함수를 종료 할 때
더 많은 상황이 있을 거 같은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만약 deps 를 사용하지 않으면 ❓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 마다 실행 됩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모든 렌더링에 상호작용 하기 때문에 의도와 다르게 Side Effect 가 실행 될 수 있습니다.
정리
지금까지 Side Effect 가 무엇인지, 순수 함수란, 생명주기, useEffect 사용법 등
짧지 않은 내용이지만 저를 포함한 많은 분들이 이 글을 접하게 되시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피드백은 환영 입니다👍
짧게 정리을 해보면
- useEffect() 훅으로만 클래스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함수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음
- 첫 컴포넌트 렌더링 시 한 번은 수행 ( [ ] 여부와 관계없이 )
만약 number 의 값이 변하면 위의 useEffect 는 다시 작동 합니다. ( action 값이 같아도! )
- 즉, number가 바뀌면 console.log(action) 은 같이 나옵니다.
- 이유는 의존성 배열에 들어있는 값이 변하기 때문입니다.
참고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9781552
https://choar816.tistory.com/163
https://blog.greenroots.info/what-are-pure-functions-and-side-effects-in-javascript
https://www.inflearn.com/course/%ED%95%9C%EC%9E%85-%EB%A6%AC%EC%95%A1%ED%8A%B8
https://velog.io/@jmean12/useEffect%EB%9E%80
https://ko.reactjs.org/docs/components-and-props.html
https://seokzin.tistory.com/entry/React-useEffect%EC%9D%98-%EC%B2%A0%ED%95%99%EA%B3%BC-Lifecycle
'✅ Logs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 useReducer (0) | 2023.02.13 |
---|---|
[React] - useContext (0) | 2023.02.11 |
[React] - useState (0) | 2023.02.03 |
'SSR' vs 'CSR' 그리고 'MPA' vs 'SPA' (0) | 2023.02.01 |
[React] - React 의 불변성 (0) | 2023.01.17 |